공동인증서란?
인증기관이 발행한 사이버 거래용 인감증명서를 말합니다. 정부에서 공동하는 인증서로서 인증서에는 인증서 버전, 인증서 일련번호, 인증서의 유효기간, 발급기관명 및 전자서명, 가입자 이름 및 전자서명 알고리즘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간 정부는 한국정보인증·금융결제원 등 6개 공인인증기관을 선정, 이들만 공인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들 기관이 보유하던 독점적 지위가 소멸하면 앞으로 공인인증서와 민간업체에서 발급하는 전자서명 서비스는 모두 ‘공동인증서’가 됩니다.
공인인증서가 독점적 지위를 잃는다고 해서 공인인증서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존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았다면 유효기간이 끝날 때까지 계속 쓸 수 있습니다. 유효기간이 끝나면 공동인증서로 갱신하거나, 민간인증서를 발급하면 됩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 공동인증서 발급방법 >
1) 먼저 주거래 은행 홈페이지에 접속하세요. (저는 IBK기업은행 계좌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기업은행 홈페이지를 선택했습니다. ) 각 은행사 홈페이지 상단에 보면 '인증센터'라는 메뉴가 보일 겁니다. 여길 클릭하세요. (사진 속 빨간색 박스)
2) '금융인증서 안내'라는 페이지가 뜰거에요. 여기서 우리는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항목을 클릭하게 됩니다.
3) '공동인증서 발급/재발급 메뉴'를 클릭하세요. 공동인증서를 새로 발급 받으시거나 기존 '구 공인인증서' 유효기간이 임박해서 갱신하실 분 등은 여기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4) 인증서 발급 각종 약관을 읽어보신 후 각 항목에 대해 '동의합니다' 체크 후 확인 버튼 클릭하시면 됩니다.
5) 본인 주민등록번호, 계좌 번호, 계좌 비밀번호 입력 후 확인 버튼 눌러주세요
6) 인증서를 선택해주세요. 단순히 인터넷 뱅킹, 신용카드 용도로만 사용하시려면 첫번째(무료)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나는 PC, 모바일에서 주식 거래 등도 할거야" 그런 분들이면 4천400원짜리 유료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무료에 비해 더 많은 곳에서 사용가능하기때문에 '유료'를 택하시는 게 낫습니다.
그리고 유료 공동인증서는 '금융결제원', '한국정보인증' 2곳과 연계해서 발급되는데 큰 차이는 없습니다. 저는 '한국정보인증'을 선택해서 발급받았습니다.
7) ARS 인증, 1회용 비밀번호 인증 중 하나를 택하셔야 합니다. 본인 여부 확인 과정의 일환인데....가능하면 "ARS 인증" 택하시는게 편합니다. [ARS 요청] 클릭하면 본인 휴대 전화로 자동 안내 전화가 오게 됩니다. 안내 음성 들으신 후 지정된 번호 (두자리 숫자)를 휴대폰에서 클릭하시면 인증은 마무리 됩니다.
이어 시크리트 카드 번호를 안내 페이지에서 요구하는 항목에 맞춰 숫자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씨크리트카드는 거래 은행 영업점에서 발급) 그런 후 [확인] 버튼 클릭해주세요.
일련의 절차를 거치면 공동인증서를 어디에 저장할 건지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집에서 쓰는 PC, 이동식 디스크 (USB메모리) , 휴대폰 등 선택하시고 인증서 암호 지정해주시고 확인 버튼 클릭해주시면 되요....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페이즈 에너지, 또 한번의 서프라이즈 (0) | 2021.02.15 |
---|---|
카카오, 2021년에도 매분기 어닝서프라이즈 기대 (0) | 2021.02.15 |
다이소 유심 구매...알뜰폰 개통방법 (0) | 2021.02.02 |
네이버, 케이팝 단일 플랫폼 만든다 (0) | 2021.01.28 |
네이버, KT 내비게이션 정보 쓴다 (0) | 2021.01.25 |
댓글